10. 때에 벧엘의 제사장 아마샤가 이스라엘의 왕 여로보암에게 보내어 이르되 이스라엘 족속 중에 아모스가 왕을 모반하나니 그 모든 말을 이 땅이 견딜 수 없나이다
11. 아모스가 말하기를 여로보암은 칼에 죽겠고 이스라엘은 반드시 사로잡혀 그 땅에서 떠나겠다 하나이다
12. 아마샤가 또 아모스에게 이르되 선견자야 너는 유다 땅으로 도망하여 가서 거기에서나 떡을 먹으며 거기에서나 예언하고
13. 다시는 벧엘에서 예언하지 말라 이는 왕의 성소요 나라의 궁궐임이니라
14. 아모스가 아마샤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나는 선지자가 아니며 선지자의 아들도 아니라 나는 목자요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로서
15. 양 떼를 따를 때에 여호와께서 나를 데려다가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가서 내 백성 이스라엘에게 예언하라 하셨나니
16. 이제 너는 여호와의 말씀을 들을지니라 네가 이르기를 이스라엘에 대하여 예언하지 말며 이삭의 집을 향하여 경고하지 말라 하므로
17.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네 아내는 성읍 가운데서 창녀가 될 것이요 네 자녀들은 칼에 엎드러지며 네 땅은 측량하여 나누어질 것이며 너는 더러운 땅에서 죽을 것이요 이스라엘은 반드시 사로잡혀 그의 땅에서 떠나리라 하셨느니라
아모스 7:10-17은 벧엘의 제사장 아마샤가 아모스의 예언에 반대하며 그를 왕에게 고발하는 장면과, 이에 대해 아모스가 자신의 소명을 확고히 밝히고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는 내용입니다. 아마샤는 아모스를 정치적 반역자로 몰아세우며 그의 예언을 중단시키려 했으나, 아모스는 자신이 하나님께 부름받은 목자이자 선지자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사명이 있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1. 하나님의 부르심과 순종: 아모스는 자신의 출신이나 직업에 연연하지 않고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사명을 감당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각자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2. 진리의 대가: 하나님의 말씀을 대변하는 것은 때로는 박해와 반대를 동반합니다. 아모스의 담대한 태도는 진리를 지키기 위한 용기를 보여줍니다.
3. 하나님의 공의: 하나님의 심판은 그분의 말씀을 거부하고 불순종한 자들에게 임합니다.
1. 나비 (נָבִיא, Navi) - 선지자: 아모스는 스스로를 선지자가 아니라고 말하며, 하나님의 부르심을 강조합니다.
2. 하자 (חָזָה, Chazah) - 예언하다, 보다: 아모스가 선견자로 불린 이유를 설명합니다.
3. 미슈파트 (מִשְׁפָּט, Mishpat) - 심판: 하나님의 공의와 심판을 강조합니다.
4. 샤마 (שָׁמַע, Shama) - 듣다: "여호와의 말씀을 들을지니라"는 순종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1. 소명에 대한 확인: 하나님이 내게 주신 사명은 무엇인지 묵상하고, 이를 어떻게 감당하고 있는지 돌아봅니다.
2. 진리를 전하는 용기: 진리를 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담대히 서 있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3. 하나님 말씀에 대한 태도: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온전히 믿고 순종하고 있는지, 아니면 거부하고 외면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1.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도 내가 거부하거나 외면한 적은 없는가?
2. 하나님의 부르심을 핑계로 회피한 영역이 있다면 무엇인가?
3. 내가 진리를 전할 기회를 포기한 이유는 무엇인가?
#회개 #소명 #감당 #아모스7장10절 #선지자 #심판 #진리 #하나님의부르심 #하나님의말씀 #예언 #순종 #chatGPT와큐티 #큐티 #이은혜와큐티 #이은혜
다윗의 장막을 세우고 만국을 기업으로 얻는 그 날 (2) | 2024.12.16 |
---|---|
그들의 모든 행위를 절대 있지 아니하리라 아모스8:1~14 (2) | 2024.12.14 |
중보기도의 힘: 주여 야곱이 약하니 이다. 아모스7:1~9 (0) | 2024.12.12 |
교만과 사치가 초래한 심판과 정의의 왜곡 아모스6:1~14 (1) | 2024.12.11 |
정의를 물같이 공의를 강같이 흐르게 하라 아모스5:18~27 (1)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