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와 큐티 아모스 1:1~2:3
1. 유다 왕 웃시야의 시대 곧 이스라엘 왕 요아스의 아들 여로보암의 시대 지진 전 이년에 드고아 목자 중 아모스가 이스라엘에 대하여 이상으로 받은 말씀이라
2. 그가 이르되 여호와께서 시온에서부터 부르짖으시며 예루살렘에서부터 소리를 내시리니 목자의 초장이 마르고 갈멜 산 꼭대기가 마르리로다
3.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다메섹의 서너 가지 죄로 말미암아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이 철 타작기로 타작하듯 길르앗을 압박하였음이라
4. 내가 하사엘의 집에 불을 보내리니 벤하닷의 궁궐들을 사르리라
5. 내가 다메섹의 빗장을 꺾으며 아웬 골짜기에서 그 주민들을 끊으며 벧에덴에서 규 잡은 자를 끊으리니 아람 백성이 사로잡혀 기르에 이르리라 여호와께서 말씀하셨느니라
6.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가사의 서너 가지 죄로 말미암아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이 모든 사로잡은 자를 끌어 에돔에 넘겼음이라
7. 내가 가사 성에 불을 보내리니 그 궁궐들을 사르리라
8. 내가 또 아스돗에서 그 주민들과 아스글론에서 규를 잡은 자를 끊고 또 손을 돌이켜 에그론을 치리니 블레셋의 남아 있는 자가 멸망하리라 주 여호와께서 말씀하셨느니라
9.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두로의 서너 가지 죄로 말미암아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이 그 형제의 계약을 기억하지 아니하고 모든 사로잡은 자를 에돔에 넘겼음이라
10. 내가 두로 성에 불을 보내리니 그 궁궐들을 사르리라
11.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에돔의 서너 가지 죄로 말미암아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가 칼로 그의 형제를 쫓아가며 긍휼을 버리며 항상 맹렬히 화를 내며 분을 끝없이 품었음이라
12. 내가 데만에 불을 보내리니 보스라의 궁궐들을 사르리라
13.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암몬 자손의 서너 가지 죄로 말미암아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이 자기 지경을 넓히고자 하여 길르앗의 아이 밴 여인의 배를 갈랐음이니라
14. 내가 랍바 성에 불을 놓아 그 궁궐들을 사르되 전쟁의 날에 외침과 회오리바람의 날에 폭풍으로 할 것이며
15. 그들의 왕은 그 지도자들과 함께 사로잡혀 가리라 여호와께서 말씀하셨느니라
2:1.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모압의 서너 가지 죄로 말미암아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가 에돔 왕의 뼈를 불살라 재를 만들었음이라
2. 내가 모압에 불을 보내리니 그리욧 궁궐들을 사르리라 모압이 요란함과 외침과 나팔 소리 중에서 죽을 것이라
3. 내가 그 중에서 재판장을 멸하며 지도자들을 그와 함께 죽이리라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니라
하나님께서 아모스 선지자를 통해 주변 열국에 대한 심판을 선언하시는 내용입니다. 이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이방 민족들의 죄악을 책망하고,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를 강조합니다.
1. 다메섹: 길르앗 주민들을 철 타작기로 압박.
2. 가사: 사로잡은 자를 에돔에 넘김.
3. 두로: 형제의 계약을 어기고 사로잡은 자를 에돔에 넘김.
4. 에돔: 형제를 칼로 쫓고 긍휼을 버림.
5. 암몬: 땅을 넓히려는 욕망으로 잔혹하게 길르앗의 아이 밴 여인을 살해.
6. 모압: 에돔 왕의 뼈를 불살라 재로 만듦.
하나님은 인간의 모든 죄악을 아시며 공의로 심판하신다.
열국의 죄악에 대한 심판은 이스라엘의 죄와 다르지 않으며, 하나님의 보편적인 정의를 강조한다.
이웃과의 관계를 깨뜨리고 잔인한 행위를 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크게 책망하신다.
פֶּשַׁע (페샤): '범죄' 또는 '반역'을 의미하며, 여기서 '서너 가지 죄'라는 반복 구절에 사용됨.
כָּרַת (카라트): '끊다'라는 의미로, 하나님께서 심판으로 관계를 끊으시는 것을 상징.
שׁוּב (슈브): '돌이키다'라는 뜻으로, 심판의 결정이 변하지 않음을 나타냄.
אֵשׁ (에쉬): '불'을 의미하며, 심판과 멸망의 상징.
מַלְכוּת (말쿠트): '왕국'을 의미하며, 권력 구조의 심판을 암시.
1. 공의로운 삶: 아모스의 메시지는 하나님의 공의를 따르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행동과 태도가 하나님의 정의에 부합하는지 매일 점검해야 합니다.
2. 이웃 사랑: 열국의 죄악은 대부분 이웃을 향한 잔혹함과 배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이웃과의 관계를 더 사랑으로 채워야 합니다.
3. 사회 정의: 약자를 억압하거나 부당한 방식으로 권력을 사용하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됩니다. 사회적 약자를 돌보고 공정한 행동을 선택해야 합니다.
1. 하나님께서 '서너 가지 죄'라고 반복하여 말씀하시는 것은 어떤 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을까?
2. 각 민족의 죄악은 그들의 문화적 특징과 관련이 있을까? 그렇다면 이스라엘은 그들과 어떻게 달랐는가?
3. 심판의 반복적인 패턴 속에서 하나님의 자비와 공의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하나님은 이스라엘뿐 아니라 모든 민족의 행동을 주목하시며 심판하십니다. 나의 삶도 하나님의 정의로운 기준 앞에 놓여 있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기준에 맞는 삶을 살고 있는지, 회개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 점검해 봅니다.
이웃을 향한 나의 태도가 잔인하거나 이기적이지 않은지 돌아보며, 나의 말과 행동이 하나님의 사랑을 반영할 수 있도록 기도합니다.
하나님께서 이방 민족들의 죄악까지 다루시는 것은 오늘날의 세계적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관심과도 연결됩니다. 나는 개인적으로 또는 공동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 봅니다.
#ChatGPT와큐티 #이은혜와큐티 #큐티 #이은혜 #아모스 #유다 #웃씨야 #이스라엘 #요아스 #여로보암 #두고 #아모스1장 #아모스2장 #다메섹 #모압
특권과 책임 아모스3:1~8 (2) | 2024.12.06 |
---|---|
거룩함을 더럽힌 대가 (1) | 2024.12.05 |
내 입술의 열매로 (0) | 2024.12.04 |
광풍에 날리는 쪽정이 같은 인생 (2) | 2024.12.02 |
너의 하나님을 바라라 (3) | 2024.12.02 |